인테리어 비용을 얘기하면 흔히 평당 얼마인지를 기준으로 많이 얘기를 하죠.
특히 평당 100이 기본이 아니냐는 생각을 쉽게 하는 것 같아요.
저도 세 번의 다양한 인테리어 공사를 진행하면서 주변에서 견적에 관해 물어볼 때가 많은데요.
그럴땐 제가 체감한 비용의 차이 + 인테리어쇼 유튜브에서 견적에 관한 설명을 들은 내용을 참고해서 알려줘요.
인쇼에서 얘기하는 업체별 견적 차이
업체1 : 동네 인테리어 업체, 업체2 : 디자인 업체, 업체3 : SNS나 잡지에 나오는 업체
30평 기준의 공사 실행비와 견적
유튜브에서 나온 얘기를 일부 옮겨 하자면...
견적이 형성되는 원리는 공사실행비 + 기업이윤 (공사 감리에 대한 인건비) 인데
20일 공사 기준으로 한다면 기업이윤은 800만원 정도로 책정된다고 해요.
(2020년 기준의 일반적인, 혹은 적게 책정한 기준)
일반적인 자재와 일반적인 단가 기준의 공사 실행비를 더하면 최소 3,700만원의 견적이 되는데
만약 평당 100만원인 3,000만원에 공사를 진행하게 된다면?
강마루가 장판이 되고, 실크벽지가 합지가 되고, 붙박이장 그레이드가 떨어지고, 기존 설비배관 그대로 쓰고..
이렇게 하향 조정되서 견적이 나오게 된다는 거죠.
생각해보면 물가와 인건비는 계속 오르는데 인테리어는 몇 년이 지나도 평당 100만원 기준으로 생각을 한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되는 거긴 한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당 100으로도 하려면 다 할수도 있다는 말도 사실일거에요.
제 경험에 빗대어 봤을때는 사기를 치는 업체가 아니라면 ㅎㅎ 비용과 퀄리티는 비례하는게 맞긴 해요.😅
여하튼 평당 100이든 200이든 개인의 만족도에 따라 평가도 달라질 수 있는 부분이라~
인테리어를 할 때 가장 중요하기 생각하는 가치에 따라 비용을 고려하면 좋을 것 같아요.
가성비, 디자인, 마감퀄리티, AS등등 말이에요. (다 만족해야 한다면 비용도 같이 올라가야..🙄)
'🧱 인테리어 기록 > 1_인테리어 공사를 위한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사 팁! 대형가전 중고거래할 때 제조사 이전설치 이용하기 (0) | 2022.08.30 |
---|---|
이사 팁! TV/인터넷 일시 사용중지 하기 (0) | 2022.08.29 |
인테리어 공사 기간 동안 어디에 있지? 단기임대 매물 찾아보기 (1) | 2022.08.29 |
무몰딩 시공이란, 인테리어 비용은? (0) | 2022.08.29 |
보관이사 비용, 업체 4군데 견적 비교 (0) | 2022.08.28 |
댓글